SUMMARY/Spring 3

[Spring] Query DSL!

사용 이유사용해 보고 느낀점은쿼리를 java 코드로런타임 에러를 잡을 수 있다중복되는 쿼리를 재사용할 수 있다동적 쿼리동적 쿼리를 다뤄본 적이 없어서 몰랐는데 이번 기회로 알게 되었다.쉽게 말해 분기에 따라 쿼리가 달라지는 경우.1번과 비슷하다설정Copy code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3.2'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6' id 'com.ewerk.gradle.plugins.querydsl' version '1.0.10'}group = 'study'version = '0.0.1-SNAPSHOT'java { toolchain { languageVersion..

SUMMARY/Spring 2025.06.06

[Spring Boot] 모니터링

프로덕션 준비 기능프로덕션 준비 기능이란프로덕션 환경을 위해 준비해야 하는 비 기능적 요소이다.결국 개발 하는 이유가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고장애는 항상 발생한다.(라고 지난 학기 데이터베이스 수업에서 아주 여러번 들었다)그래서 현재 진행중인 졸업 프로젝트에서 구현해 보려고 알아보던 중Spring Boot에서 제공하는 actuator를 알게 되었다.Actuator시스템을 움직이거나 제어하는데 쓰이는 기계장치라는 뜻으로기계공학 전공자들이 좋아하게 생겼다엔드포인트https://docs.spring.io/spring-boot/reference/actuator/endpoints.html#actuator.endpoints주요 엔드포인트bean :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스프링 빈을 보여준다.heal..

SUMMARY/Spring 2025.06.06

[Spring] Servlet, Spring MVC

HttpMessage, ServletHttp message는 3가지로 이루어져있다.start lineheaderbody내 블로그 header를 살펴보면Cache hit, age 설정 관련된 정보도 볼 수 있는데, github pages에서는 10분으로 설정해놓은 듯 하다. (이거 때문에 304 뜨는듯)소소하지만 캐싱 정책을 커스텀하지 못하는 점을 불평하는 글도 있다. https://github.com/orgs/community/discussions/11884원문은 이렇게 생겼는데 개발하면서 이런 응답을 직접 작성한다면반복되는 부분도 많고, 실수할 여지도 많고, 무엇보다 귀찮을 것이다.이걸 도와주는게 서블릿이다.한마디로 서블릿이란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java 기반 기술@WebS..

SUMMARY/Spring 2025.06.06